본문 바로가기
해외 주식 채권 부동산 투자

엔테크 투자 전략과 일본 증시 미국 직접 투자 방법

by 소듕해 2025. 2. 5.

엔테크 투자 전략

엔테크(엔화 투자) 투자 전략 & 일본 증시 직접 투자 방법

- 특히 엔화로 미국 장기채(국채)나 해외 주식에 투자해 환차익까지 노리는 상장지수펀드(ETF)가 주목받고 있다. 아래에서 엔테크 관련 투자 전략과 일본 증시에서 직접 투자하는 방법을 정리했다. 

 

엔테크(엔화 투자) 란? 

- 엔화 강세를 활용한 투자 전략

- 환차익 + 기초자산 수익을 동시에 노리는 방식

- 미국 국채, 글로벌 주식 등 엔화로 투자하는 ETF 활용 가능 

엔화 관련 국내 인기 ETF 상품 

ETF명  주요 투자 대상
TIGER 일본엔선물  일본 엔화 선물
RISE 미국 30년 국채엔화노출(합성 H) 미국 30년 국채 
ACE 미국 30년 국채 엔화 노출 액티브(H) 미국 30년 국채
SOL 미국 S&P500 엔화 노출(H) 미국 S&P500 지수 

주목할 점

- RISE 미국 30년 국채 엔화 노출(합성H), ACE 미국 30년 국채 엔화노출(H) 등 미국 국채형 ETF는 금리 인하 시 회복 가능성이 있다. 

- SOL 미국 S&P500엔화노출(H) 등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상품도 엔화 강세 수혜 예상

 

일본 증시에서 엔화로 미국 투자하는 방법

 

1. 일본 증시에 상장된 미국 국채 ETF 활용

- 일본에서 미국 국채에 투자하는 방법 중 하나는 도쿄증권거래소(TSE)에 상장된 미국 국채 ETF를 매수하는 것이다. 이런 상품은 엔화로 투자하면서도 미국 국채 금리에 노출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일본 증시 상장 미국 국채 ETF 예시

iShares 20+ Year US Treasury Bond JPY Hedged ETF (JP:2621)
iShares 7-10 Year US Treasury Bond ETF (JP:2620)
SBI 미국 국채 10년 ETF (JP:2644)

장점

엔화 강세 + 미국 국채 가격 상승 시 이중 수익 가능
일본 증시에서 직접 매수 가능하며 환전 비용 절감
엔화 기반 투자로 환율 변동 리스크 조정 가능 

단점

미국 국채 금리 변동에 따른 가격 변동성 존재
일본 증권사 계좌 개설 필요 

 

2. 일본 증시에서 미국 주식 투자 

- 일본 증시에는 미국 주식과 관련된 다양한 ETF가 상장되어 있으며, 이를 활용하면 엔화로 미국 S&P500, 나스닥 100, 글로벌 테크 기업 등에 투자 가능하다. 

일본 증시 상장 미국 주식 ETF 예시 

iShares S&P500 JPY Hedged ETF (JP:2633)
NEXT FUNDS 미국 나스닥100 ETF (JP:1545)
MAXIS 미국 S&P500 ETF (JP:2558)

장점

- 엔화 강세 시 추가 환차익 기대
- 미국 증시 상승 시 수익 극대화 가능
- 일본 증권사 계좌를 통해 엔화로 직접 투자 가능 

한국에서 일본 증시에 직접 투자하는 방법

- 한국 증권사에서 해외주식 계좌 개설(일본 증시 거래 가능)

- 엔화 환전 후, 도쿄증권거래소(TSE) 상장 종목 매수 가능

- 엔화로 미국 국채/미국 주식 ETF 매수 가능 

필요 절차 

1) 해외 주식 거래 계좌 개설 (미래에셋,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등)
2) 해외주식 거래 신청 & 일본 증시 활성화
3) 원화 입금 후, 엔화로 환전
4) HTS/MTS를 통해 일본 증시 종목 검색 & 매수

주의 사항

일본 주식은 기본 100주 단위 거래 (소액 투자 어려움)
환율 변동 리스크 존재 -> 매수 타이밍 고려 
거래 수수료 & 세금 발생 -> 투자 전 비용 확인 필수 

 

투자자가 엔화 투자 시 할 수 있는 전략 

 

1. 엔화 강세에 베팅하는 ETF 투자 

- TIGER 일본엔선물 ETF -> 엔화 가치 상승 시 수익 가능

- RISE 미국 30년 국채 엔화 노출(합성 H) -> 엔화 + 미국 장기채 환차익 기대

- ACE 미국 30년 국채 엔화노출 액티브(H) -> 장기 투자 시 안정적 수익 가능 

2. 일본 증시에서 미국 국채 및 주식 투자

- iShares 20년 + 미국 극채 ETF (JP:2621) 활용

- 도쿄증권거래소(TSE)에서 직접 매수해서 환율 리스크 조절 가능 

- S&P500, 나스닥100 ETF 투자로 미국 증시 상승 수혜 가능 

3. 단기 트레이딩 전략 활용

- 엔화 강세에 따른 환율 트레이딩 가능

- 단기 변동성을 고려해 부분 매수 전략 추천 

종합 요약 

- 엔화 강세 베팅 가능성 높음 -> 엔화 투자 ETF 관심 증가

- 미국 국채/S&P500 투자와 함께 환차익 전략 고려

- 일본 증시에서 미국 국채/주식 투자 가능성 검토

- 한국에서도 일본 증시에 직접 투자 가능 

 


관련 글: 미국 주식 배당소득세 절약, 중개인 선택 방법

 

미국 주식 배당소득세 절약, 브로커 선택 방법

미국 주식 배당소득세 줄이는 중개인 선택 방법- 미국 주식 배당 투자는 안정적인 소득 창출 방법으로 인기가 많다. 그러나 배당소득세가 기본 30%로 부과되기 때문에 세금 문제를 제대로 관리하

mokyoktang-story.tistory.com

 

관련 글: 미국 인프라 채권 투자:안정성과 지속 가능한 수익

 

미국 인프라 채권 투자:안정성과 지속 가능한 수익

미국 인프라 채권 투자: 안정성과 지속 가능한 수익 추구 전략- 미국 인프라 채권(infrastructure Bonds)은 도로, 교량, 에너지 시설 등 공공 인프라 프로젝트의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되는 채권으

mokyoktang-story.tistory.com

 

관련 글: 미국 하이일드 채권 투자: 고수익을 위한 전략

 

미국 하이일드 채권 투자: 고수익을 위한 전략

미국 하이일드 채권 투자: 고수익 전략- 하이일드 채권(High-Yield Bonds)은 고위험 고수익 투자 상품으로,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이 발행한 채권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정크 본드(Junk Bond)'라고도 불

mokyoktang-story.tistory.com